편의점 크기만한 도슨시티공항에 놀라다. "정말 공항이 이렇게 작아도 되는거야?" 아무리 생각해 봐도 작다. 백번 양보해도 이건 너무 작다. 우리로 치면 '조금 넓게 지은 편의점'...딱 그만한 크기~! 시설은 어떠한가? 식당은 커녕 공항에 매점 하나 없다. 하긴 이제껏 공항이라면 '의례히' 기본이라고 생각해 왔던 '짐 부치고 찾는 컨베이어 벨트' 하나 없으니... "정말...공항이 이래도 되는거야~!" 도슨시티공항의 전경, 도슨시티, 유콘 준주, 캐나다 공항임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목조 네임판, 도슨시티공항, 도슨시티, 유콘 준주 화이트홀스에서 비행기로 약 1시간 20분 거리에 위치한 도슨시티는 인구 1,800명 남짓한(그것도 관광성수기인 여름, 초가을에만) 매우 작은 규모의 소도시이다. 하지만 그 안..
야생의 도시를 수놓은 다양한 매력에 반하다. 화이트홀스(Whitehorse)... 캐나다 유콘 준주의 주도로 인구는 약 26,000명. 여름이면 '하얀 밤(白夜)'이, 겨울이면 '오로라의 밤'이 여행자를 사로잡는 도시. 도시를 둘러 보고자 길을 나서면 아무리 '꼼꼼히' 본다해도 2시간이 채 걸리지 않을 만큼 작은 규모지만 '존재감'만큼은 캐나다의 어느 도시와 견주어도 '부족함'이 없는 곳. 과거에는 '골드러쉬'의 허브로, 지금은 툰드라의 땅인 '유콘 탐험'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중심가를 유유히 흘러가는 유콘강을 포함해 거대한 산과 호수가 '스펙터클'한 풍경을 연출하고 있는 곳. 메인 거리에 설치 된 도로 맵, 화이트 홀스, 유콘, 캐나다 화이트홀스 거리에서 만난 오로라와 원주민 문장이 그려진 건물..
유콘의 전설로 남은 대형증기선을 만나다...화이트홀스의 S.S클론다이크(Klondike). '부우웅...부우웅...' 둔중하고 묵직한 고동소리와 함께 쉴새없이 검은 연기를 뿜어대며 '유콘 강'을 항해할 준비를 마친 거대한 증기선이 '천천히' 선착장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선미외륜형(船尾外輪)'의 이 거대한 증기선은 외벽을 온통 하얗게 칠해 놓았다. '이름은 S.S 클론다이크' '부우웅...부우웅...' 다시 한번 모두에게 출발을 재확인시켜 주기라도 하는 듯, 예의 그 육중하고 무거운 고동이 순식간에 선착장 구석구석으로 파고든다. 배의 난간을 잡고 서 있는 모두가 말이 없다. 그저 물끄러미 자신을 배웅 나온 사람들을 향해 묵묵히 고개만을 끄덕일 뿐... 물론 배에 승선하게 된 사연들은 저마다 제 각각 일..
명불허전, 가을의 아라시야마(嵐山)를 가다~! 사실 처음에는 썩 달갑지 않았다. 11월 초, 가을 교토에 대한 취재를 제안 받았을 때는 말이다. 마음이 편치 않았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최근에 '집중적으로' 다녀 온 일본이기에, '일본 여행'에 대한 '어느정도의' 매너리즘은 물론 약간의 식상함마저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방문할 때마다 '어쩌면 이럴까?'싶을 정도로 매번 험악해지는 날씨 앞에, 그간 받아 온 스트레스 역시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아름답고 멋진 풍경도 태풍과 장대같은 비 앞에서는 '아무 것'도 아니게 된다) 오죽하면 일본어를 아는 지인들이 최근에 붙여준 별명이 '아메 오또코(雨男: 비를 몰고 다니는 남자)'였을까? 소겐치, 덴류지, 아라시야마, 교토 오이가와, 도게쓰교 상류, 아라시야마..
나는 풍경이다~!, 드럼헬러의 호슈협곡(Horseshoe Canyon). 캘거리에서 배드랜드 지역인 드럼헬러로 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호슈협곡은 아쉬움이 느껴지는 곳이다. 그것은 호슈협곡이 무언가 부족하다거나 실망스러워서가 아니다. 단지 캐나다라는 나라에 존재하는 풍경이라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다. 호슈협곡, 드럼헬러, 앨버타 주, 캐나다 호슈협곡, 드럼헬러, 앨버타 주, 캐나다 만일 호슈협곡이 캐나다가 아닌 우리나라에 있다면 어떠했을까? 방문하는 곳마다 멋진 풍경이 쏟아져 내리는, 자연으로 축복받은 나라 캐나다에 존재하기 때문에 성에 차지 않는 풍경처럼 되어 버렸지만 우리나라에서라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의 주인공이 되어 있지 않았을까? 가보지 않고도 예전부터 익히 들어 친숙해진 여행지들이 있다. 캐나다에..
연어들의 무차별 습격을 경험한 무라카미의 킷가와. 니가타현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무라카미시(村上)시는 홋카이도와 함께 연어가 회귀하는 고장으로 유명하다. 매년 10월이 되면 '대를 잇기 위해' 수많은 연어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무라카미의 미오모테강으로 올라오는데, 그에 발맞춰 이 시기에는 연어를 잡기 위한 움직임으로 무라카미의 주민들이 너나 할것 없이 분주해진다. 또한 무라카미는 이와 같이 잡힌 연어들을 가공하고 보관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꽤나 유명하다. 배를 가르고 소금을 친 수많은 연어들을 집집마다 처마 줄줄이 매달아 놓고 있는데, '시오비키'라고 불리는 이러한 전통 염장방식이 연출해 내는 풍경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하지만 그와 같은 '방식'안에는 연어를 대하는 무라카미 주민들의 행동적인 자세뿐 만이..